aws copilot cli

 AWS ECS에서만 쓰는 툴인듯? https://github.com/aws/copilot-cli https://aws.github.io/copilot-cli/

eks 관련

  https://velog.io/@bsh5659/AWS-EKS-%ED%95%B5%EC%8B%AC-%EC%A0%95%EB%A6%AC yml 생성 사이트 https://k8syaml.com/ 공식 문서 https://kubernetes.io/docs/home/

고정 ip vs 정적 ip

 https://velog.io/@sh1623/%EA%B3%A0%EC%A0%95%EC%9D%B4%EB%83%90-%EC%9E%90%EB%8F%99%EC%9D%B4%EB%83%90-%EC%A0%95%EC%A0%81-vs-%EB%8F%99%EC%A0%81-IP-%EC%A3%BC%EC%86%8C-%EB%AD%90%EA%B0%80-%EB%8D%94-%EC%A2%8B%EC%9D%84%EA%B9%8C

Argo CD 관련,,

Argo CD 괜찮아 보여서 찾아보는 중 git 레포지토리에 yml올려서 쿠버네티스 배포 자동화를 할수 있음 깃에 yml 업데이트되면 수동으로 argo에서 누르던 자동으로 하던  업데이트 시킬 수 있음 웹으로 볼 수 있고 그냥 helm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띄우면 될듯 랜쳐도 쓰면 너무 관리 웹 많은가 GitOps란 무엇인가? https://beer1.tistory.com/39 ArgoCD 소개와 설치 https://beer1.tistory.com/40 [ArgoCD]란? 개념부터 설치 배포까지 https://wlsdn3004.tistory.com/37

snmpd관련

https://net-snmp-users.narkive.com/p25L5L7q/clarrification-on-agentaddress-in-snmpd-conf 흠... 도움되는글인지는 모르겠음 https://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505915 https://net-snmp.sourceforge.io/dev/agent/group__read__config.html

mcp 프로로콜

MCP (Model Context Protocol)은 LLM (Large Language Model)이 외부 데이터 소스, 도구, 시스템 등과 상호작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통합하는 것을 표준화하기 위해 Anthropic이 개발한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pcb 직접 주문으로 마우스 만드는 유튜브 영상

메이터 유튜버인데 초미니 전자기기 제작 컨텐츠 https://www.youtube.com/@juskim/videos pcb 직접 주문으로 마우스 만드네 신기함 https://www.youtube.com/shorts/y6oT4niT024

aws architect 자격증

  https://goddaehee.tistory.com/194 https://brunch.co.kr/@topasvga/233 덤프 공부를 많이 하는 듯 하는데 종류가 있는듯 https://www.examtopics.com/exams/amazon/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saa-c03/ https://www.koreadumps.com/SAA-C03-KR_exam-braindumps.html# 강의는 이걸 젤많이 듣는거 같고 https://www.udemy.com/course/best-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꿀팁 블로그 https://dkswnkk.tistory.com/751 https://limreus.tistory.com/194 https://velog.io/@bona/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EC%8B%9C%ED%97%98-%ED%9B%84%EA%B8%B0-%ED%95%A9%EA%B2%A9 덤프 풀이 블로그인데 22년도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am_jaong&logNo=222909260062

vue

vue create vue3-project이름 vscode에 vetur 를 설치함 index.html있고 src에 main.js가 시작 포인트 템플릿 npm run serve로 시작 앱.뷰 단위 파일에 template script style이렇게 들어가 있다 컴포넌트 ==== .vue를 쓰면 그게 뷰 컴포넌트 세가지로 구정 template script style composition api는 스크립트 안에 export default { setup(){ 변수 선언이 가능해지는데 이걸로 템플릿안에서 사용 가능 → 변수인가? {{ name }} 이런식으로 사용가능 함수는 {{ hello() }} 이런식으로 사용가능 return 에 setup함수의 변수나 } } 이런식 vue2 → vue3로 바뀌면서 바뀐거 vue2에서는 템플릿 안에 하나의 태그(루트) 안에 모든 요소들이 있어야 했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 없음 이벤트는 템플릿의 태그 속성으로 바로 들어감 이런식으로 v-on:click ="함수이름괄호없이" 변수는 스테이트가 아니라서 바뀌어도 템플릿 반영 안됨 그러니까 ref를 사용해 줘야한다 import ref from vue...대충 한다음에 ref()이렇게 해줘야한다. → value를 꼭적어줘야하고 reactive도 있음 → value 적을 필요 없고 기본자료형과 object array만 사용가능 뭔차이지.. 단방향 바인딩 데이터 바인딩-데이터를 인풋이랑 연결하는거? 인데(유저 인풋을 받아가는건 아니고..) 태그의 속성들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아무튼 이건 어떻게 하냐면 <input type="text" v-bind:value="name"> 인풋의 value값을 name 변수랑 동기화 되게 한다.. v-bind:value="name"> 줄여서 :value="name"> 이렇게도 사용가능 v-on:click ="함수이름괄호없이" 이거도 줄...

aws 관련

  bastion host vs session manager https://www.lgcns.com/blog/cns-tech/aws-ambassador/40899/ https://teri0411.github.io/aws/2022/12/16/bastion-host%EC%99%80-Session-manager-%EA%B7%B8%EB%A6%AC%EA%B3%A0-bastion-Service.html https://musma.github.io/2019/11/29/about-aws-ssm.html

tmux 사용법

 `tmux`는 터미널 멀티플렉서(terminal multiplexer)로, 하나의 터미널에서 여러 개의 세션을 만들고, 창을 나누고, 백그라운드에서도 세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야. SSH로 서버에 접속할 때 특히 유용하지. 기본적인 사용법을 아래에 정리해볼게: * * * * * ### ✅ 기본 명령어 | 동작 | 명령어 | | --- | --- | | 새 세션 생성 | `tmux` 또는 `tmux new -s 세션이름` | | 세션 목록 보기 | `tmux ls` | | 세션에 다시 접속 | `tmux attach -t 세션이름` | | 세션 종료 | `exit` 또는 `Ctrl-b` → `:` → `kill-session` | | 세션 분리(detach) | `Ctrl-b` 누른 후 `d` | * * * * * ### ✅ 창/패널 관련 | 동작 | 키 조합 | | --- | --- | | 새 창 생성 | `Ctrl-b` → `c` | | 창 간 이동 | `Ctrl-b` → 숫자 (예: `0`, `1`) | | 창 이름 변경 | `Ctrl-b` → `,` | | 수평 분할 | `Ctrl-b` → `"` | | 수직 분할 | `Ctrl-b` → `%` | | 패널 간 이동 | `Ctrl-b` → 화살표 키 | | 패널 종료 | 해당 패널에서 `exit` | | 패널 크기 조절 | `Ctrl-b` 누른 상태로 `Ctrl` + 화살표 | * * * * * ### ✅ 자주 쓰는 팁 -   세션이 끊기더라도(예: SSH 접속 종료) 세션은 유지돼서 다시 `tmux attach -t 세션이름` 하면 이어서 작업할 수 있어. -   `.tmux.conf` 파일을 이용해 키 바인딩이나 색상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어.

ci cd 관련 정리 블로그글 찾은거

GitLab CI/CD 구축 https://soonmin.tistory.com/87 깃랩 ci cd jenkins 차이 https://insight.infograb.net/blog/2023/08/10/gitlab-jenkins-comparision/ 배포 전략 관련 https://velog.io/@gehwan96/CICD-%EB%B0%B0%ED%8F%AC-%EC%A0%84%EB%9E%B5-%EC%A0%95%EB%A6%AC https://dev.classmethod.jp/articles/ci-cd-deployment-strategies-kr/ https://dev.classmethod.jp/author/jung-haeun/

zxing 관련 글 블로그

  https://velog.io/@yys7517/Android-Android%EC%97%90%EC%84%9C-QR-%EC%BD%94%EB%93%9C-%EB%8B%A4%EB%A4%84%EB%B3%B4%EA%B8%B0-2-Zxing https://dev-huhu.tistory.com/9 https://velog.io/@leeyjwinter/ViewModel-LiveData-%EC%9E%90%EC%B2%B4%EB%A5%BC-Data-Binding%ED%95%98%EA%B8%B0 https://heegs.tistory.com/101 https://blog.naver.com/mhh2028/221894615541 https://soft-warm-up-cookie-lab.tistory.com/234

adb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실물 기기를 ADB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IP로 연결하려면, ADB 무선 디버깅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 하면 됩니다. 1. ADB 무선 디버깅 활성화하기 (USB 연결 필요) 1. USB로 기기 연결 • 먼저 USB 케이블로 실물 기기를 PC에 연결하세요. 2. 개발자 옵션 활성화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빌드 번호]를 여러 번 눌러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 [설정] →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하세요. 3. 기기의 로컬 IP 확인 • 기기의 현재 네트워크 IP 주소를 확인하세요. • 설정 → Wi-Fi →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192.168.0.100) 4. ADB를 통해 무선 디버깅 활성화 • PC의 터미널(CMD/Powershell or macOS/Linux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 실행: adb tcpip 5555 • 이 명령은 기기의 ADB 포트를 5555번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합니다. 2. ADB 무선 연결 이제 USB를 뽑고, 무선으로 연결하세요. 1. ADB를 통해 기기 연결 • 아래 명령을 실행: adb connect 192.168.0.100:5555 (192.168.0.100 대신 본인의 기기 IP 입력) 2. 연결 확인 • 연결된 기기 목록 확인: adb devices • 무선 연결된 기기가 device 상태로 나오면 성공! 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연결 확인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Device Manager] 또는 [실행 → 실행 설정 (Run/Debug Configurations)]에서 연결된 기기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4. 연결 해제 • 무선 디버깅을 중지하려면: adb disconnect 192.168.0.100:5555 주의 사항 • PC와 스마트폰이 같은 Wi-Fi 네트워크에 있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