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실물 기기를 ADB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 IP로 연결하려면, ADB 무선 디버깅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 하면 됩니다.

1. ADB 무선 디버깅 활성화하기 (USB 연결 필요)

1. USB로 기기 연결

먼저 USB 케이블로 실물 기기를 PC에 연결하세요.

2. 개발자 옵션 활성화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빌드 번호]를 여러 번 눌러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설정] →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하세요.

3. 기기의 로컬 IP 확인

기기의 현재 네트워크 IP 주소를 확인하세요.

설정 → Wi-Fi →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192.168.0.100)

4. ADB를 통해 무선 디버깅 활성화

PC의 터미널(CMD/Powershell or macOS/Linux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 실행:

adb tcpip 5555


이 명령은 기기의 ADB 포트를 5555번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합니다.

2. ADB 무선 연결


이제 USB를 뽑고, 무선으로 연결하세요.

1. ADB를 통해 기기 연결

아래 명령을 실행:

adb connect 192.168.0.100:5555

(192.168.0.100 대신 본인의 기기 IP 입력)


2. 연결 확인

연결된 기기 목록 확인:

adb devices


무선 연결된 기기가 device 상태로 나오면 성공!

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연결 확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Device Manager] 또는 [실행 → 실행 설정 (Run/Debug Configurations)]에서 연결된 기기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4. 연결 해제

무선 디버깅을 중지하려면:

adb disconnect 192.168.0.100:5555

주의 사항

PC와 스마트폰이 같은 Wi-Fi 네트워크에 있어야 합니다.

일부 공용 네트워크(사무실/기숙사/학교 Wi-Fi)에서는 방화벽 때문에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무선 디버깅은 보안상 위험할 수 있으니 사용이 끝나면 반드시 비활성화하세요.


이 방법으로 동일 네트워크에서 IP를 유지하면서 무선 디버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DB(adb.exe) 프로세스를 종료했거나 꺼버렸다면 다시 실행하면 됩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 복구하세요.

1. ADB가 실행 중인지 확인

1. 터미널(명령 프롬프트 또는 PowerShell) 열기

Windows: Win + R → cmd 또는 powershell 입력 후 실행

macOS/Linux: 터미널 실행

2. ADB 실행 상태 확인

adb devices

만약 adb 명령을 찾을 수 없거나 아무 것도 안 나오면 ADB가 종료된 것입니다.

2. ADB 다시 실행하는 방법


1) ADB 서버 수동으로 다시 시작


ADB 서버가 꺼졌다면 다시 실행하세요.

adb start-server

다시 실행 후, 연결된 기기를 확인하세요.

adb devices

기기가 device 상태로 나오면 정상 실행된 것입니다.


2) ADB 바이너리 직접 실행 (ADB 위치 모를 때)


ADB가 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찾을 수 없는 경우:

1. ADB가 설치된 경로 찾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면 기본적으로 아래 경로에 있습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


또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직접 확인 가능:

[File] → [Settings] → [Appea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 → [Android SDK] → “SDK Location” 확인 후 platform-tools 폴더로 이동


2. ADB 실행하기

해당 폴더에서 cmd 실행 후:

adb start-server


3. 환경 변수 등록 (옵션)

매번 직접 실행하기 귀찮다면, platform-tools 경로를 환경 변수에 추가하세요.

3. ADB 무선 연결 복구


ADB 서버를 다시 실행했으면, 기존 연결을 다시 시도하세요.

1. 기기 IP 확인 후 다시 연결

adb connect 192.168.0.100:5555

(192.168.0.100은 본인의 기기 IP로 변경)


2. 연결 확인

adb devices

기기가 device로 표시되면 정상 연결된 것!

이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도 정상적으로 기기가 잡힐 거예요. 다시 실행해보고 그래도 안 되면 추가로 문제 상황을 알려줘요!


안드로이드 실물 기기의 IP를 노트북과 동일한 네트워크 IP로 설정하려면, 같은 서브넷 내에서 고정 IP(Static IP)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노트북의 IP 주소 확인

1. Windows에서 확인

Win + R → cmd 입력 후 실행

다음 명령 실행:

ipconfig


“무선 LAN 어댑터 Wi-Fi” 항목에서 IPv4 주소 확인 (예: 192.168.1.100)


2. macOS에서 확인

터미널에서 실행:

ifconfig | grep "inet "


inet 192.168.x.xxx 형태로 표시됨.

2. 안드로이드 기기 고정 IP 설정

1. Wi-Fi 설정으로 이동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Wi-Fi

현재 연결된 Wi-Fi 네트워크를 길게 눌러 네트워크 수정 선택

2. 고급 설정 변경

IP 설정 → 고정 (Static)으로 변경

3. IP 주소 입력

IP 주소: 노트북과 같은 네트워크 범위에서 설정 (예: 192.168.1.150)

게이트웨이: 일반적으로 공유기 IP (예: 192.168.1.1)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DNS: 8.8.8.8 또는 공유기와 동일한 값

4. 저장 후 Wi-Fi 다시 연결

3. ADB 다시 연결


이제 안드로이드 기기가 고정 IP를 가지므로, ADB 무선 연결을 다시 설정하세요.

1. ADB 서버 재시작

adb kill-server

adb start-server


2. 기기 IP를 이용해 연결

adb connect 192.168.1.150:5555


3. 연결 확인

adb devices

192.168.1.150:5555 device가 표시되면 성공!

4. (선택) 공유기에서 고정 IP 예약하기


위 방법으로도 IP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공유기 설정에서 MAC 주소 기반으로 고정 IP를 할당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공유기 설정 페이지 (192.168.1.1)에 접속

DHCP 설정에서 안드로이드 기기의 MAC 주소에 특정 IP 할당

이렇게 하면 노트북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항상 일정한 I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