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Matrix Code vs QR 다이소는 Data Matrix Code 사용

    

 https://www.etnews.com/20240329000136


요약:


다이소 제품의 바코드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Data Matrix Code)’**로, 우리가 흔히 보는 QR코드와 다른 2차원 바코드입니다.


🧩 바코드 종류

  • 1차원 바코드: 가로 방향으로만 정보 저장, 약 20자 내외.

  • 2차원 바코드: 가로·세로 모두에 정보 저장 가능, 오류 복원 기능 존재.

    • 대표 예시: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 QR코드 vs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구분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개발

1994년 덴소웨이브(일본)

1989년 International Data Matrix(미국)

형태

세 모서리에 큰 사각형 파인더 패턴

L자 형태의 단색 테두리 파인더 패턴

정보량

최대 숫자 7089자 / 영문 4296자

최대 숫자 3116자 / 영문 2355자

크기

최소 21x21 셀

최소 10x10 셀

특징

빠른 스캔, 많은 정보량

작고 고밀도, 초소형 제품에 적합


🧾 다이소가 데이터 매트릭스를 쓰는 이유

  • 공간 효율성: QR보다 작은 크기로도 인식 가능해, 소형 제품 부착에 유리.

  • 의약품 규격 부합: GS1 국제 표준에서 의약품용으로 공식 승인된 유일한 2D 코드.

  • 소형 전자제품·화장품 등 작은 제품에 적합.


📱 QR코드가 더 흔한 이유

  • 스캔 속도 빠르고 정확함.

  • 저장 가능한 정보량과 문자 종류가 더 다양.

  • 따라서 일반 소비자용 제품에는 QR코드가 더 많이 쓰이고,

    산업용·소형 제품에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가 주로 사용됨.


👉 요약하자면,

다이소는 작은 제품에도 인식 가능한 고밀도·소형 바코드인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공간 절약의약품 등 특정 표준 준수를 위한 선택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TUDY

vue

Capacitor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 앱으로 감싸고, 네이티브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