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input에서의 value

    

 React input에서의 value를 꼭 써야하나?

`value={wordSearched}`는 React에서 입력 요소를 제어 컴포넌트로 만들 때 필요한 속성입니다. 제어 컴포넌트란 React 상태(state)를 통해 입력 요소의 값을 제어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React는 입력 요소의 상태를 관리하고, 변경할 때마다 화면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왜 필요한가요?


1. **상태 관리**: `value={wordSearched}`를 사용하면 입력 요소의 현재 값을 `wordSearched` 상태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이 상태에 반영되므로, 이 값을 이용해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거나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제어**: React가 입력 요소의 상태를 관리하므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컴포넌트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 기능이나 필터링 기능을 구현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3. **일관성**: React의 가상 DOM(Virtual DOM)에서는 상태와 UI를 동기화하기 위해 입력 요소의 상태를 추적합니다. `value` 속성을 사용하면 React가 이 변화를 감지하고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사용하지 않을 때의 문제점:


만약 `value={wordSearched}`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요소를 일반 HTML처럼 사용한다면, React의 상태 관리를 이용하지 않고 DOM에 직접 접근해야 합니다. 이는 React의 성능과 일관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복잡한 상태 관리나 UI 업데이트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act에서는 입력 요소의 상태를 제어 컴포넌트로 만들어 `value` 속성을 사용하여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좋은 프랙티스입니다. 이는 React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이며, React의 강력한 상태 관리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useEffect`는 주로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거나 업데이트될 때 부수 효과(side effects)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입력 필드의 값과 같은 제어 컴포넌트는 `useEffect`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 `useEffect`와 입력 값 관리의 차이:


1. **제어 컴포넌트**:

   - `value`와 `onChange`를 사용하여 입력 필드의 상태를 관리합니다.

   - 이는 즉각적이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태가 변경되며 UI가 업데이트됩니다.


2. **useEffect**:

   -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 상태가 변경될 때,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등 특정 시점에 실행됩니다.

   -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구독을 설정하거나, DOM을 직접 조작하는 등의 부수 효과를 처리합니다.


### 입력 필드 관리 예시:


입력 필드의 상태를 제어 컴포넌트로 관리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javascript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wordSearched, setWordSearched] = useState("");


  function onChange(e) {

    setWordSearched(e.target.value);

  }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wordSearched}

        onChange={onChange}

        style={{ fontSize: 20, width: "100%" }}

      />

      <div>Searching for: {wordSearched}</div>

    </div>

  );

}


export default App;

```


### `useEffect` 사용 예시:


`useEffect`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특정 상태가 변경될 때 부수 효과를 처리하는 데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 데이터를 가져오는 경우입니다.


```javascript

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null);


  useEffect(() => {

    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setData(data))

      .catch((error) => console.error("Error fetching data:", error));

  }, []); // 빈 배열을 두 번째 인자로 넣으면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만 실행됨


  return (

    <div>

      {data ? <div>Data: {JSON.stringify(data)}</div> : <div>Loading...</div>}

    </div>

  );

}


export default App;

```


### 결론:


- 입력 필드의 상태 관리는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value`와 `onChange`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거나 업데이트될 때 실행해야 하는 부수 효과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 두 개념은 서로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므로, 입력 필드의 상태 관리와 부수 효과 처리는 각각 적절한 방법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value` 속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입력 필드가 업데이트될 수 있지만, 그 경우 입력 필드가 제어 컴포넌트가 아닌 비제어 컴포넌트로 동작하게 됩니다. React에서 제어 컴포넌트와 비제어 컴포넌트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제어 컴포넌트와 비제어 컴포넌트


**제어 컴포넌트**는 React 상태를 통해 입력 요소의 값을 제어합니다.


```javascript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wordSearched, setWordSearched] = useState("");


  function onChange(e) {

    setWordSearched(e.target.value);

  }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wordSearched}

        onChange={onChange}

        style={{ fontSize: 20, width: "100%" }}

      />

      <div>Searching for: {wordSearched}</div>

    </div>

  );

}


export default App;

```


**비제어 컴포넌트**는 React 상태를 통해 입력 요소의 값을 제어하지 않고, DOM 자체의 상태를 관리합니다. `value` 속성이 없고, 필요에 따라 `ref`를 사용하여 DOM 요소에 접근합니다.


```javascript

import React, { useRef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inputRef = useRef();


  function handleSubmit() {

    alert(inputRef.current.value);

  }


  return (

    <div>

      <input

        type="text"

        ref={inputRef}

        style={{ fontSize: 20, width: "100%" }}

      />

      <button onClick={handleSubmit}>Submit</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


### 왜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는가?


1. **일관된 상태 관리**:

   - 제어 컴포넌트는 React의 상태를 통해 입력 값을 관리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UI가 일관되게 유지됩니다.

   - 모든 상태 변경은 React의 상태 관리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상태 추적이 용이합니다.


2. **예측 가능성**:

   - 입력 값이 React 상태를 통해 제어되므로, 입력 요소의 상태를 예측하고 관리하기 쉽습니다.

   - 이는 특히 복잡한 폼이나 입력 검증 로직이 필요한 경우에 유리합니다.


3. **단방향 데이터 흐름**:

   - React의 철학 중 하나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입니다. 제어 컴포넌트는 이 원칙을 따르며, 데이터의 흐름이 명확합니다.

   - 상태가 변경되면 UI가 업데이트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상태를 변경합니다.


### 비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경우


1. **단순한 폼**:

   - 입력 요소가 많지 않고, 단순한 폼의 경우 비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입력 값을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고, 폼 제출 시에만 값을 읽어오면 되는 경우 유용합니다.


2. **기존 라이브러리와 통합**:

   - 외부 라이브러리나 기존의 폼 처리 로직과 통합할 때 비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OM 요소에 직접 접근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 결론


입력 요소의 상태를 React 상태와 동기화하려면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는 상태 관리, 예측 가능성,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순한 폼이나 특정 상황에서는 비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어 컴포넌트가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