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커맨드라인 명령어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 저장소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Git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프로젝트를 Git 저장소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은 `git init`을 사용하여 Git 저장소를 초기화하는 단계입니다:


1.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Git 저장소로 만들고 싶은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my_project`라는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h

   cd my_project

   ```


2. **Git 저장소 초기화**:

   해당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h

   git init

   ```


   이 명령어는 `.git`이라는 숨겨진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현재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만듭니다.


3. **파일 추가 및 커밋**:

   프로젝트의 파일을 Git에 추가하고 첫 커밋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모든 파일을 추가하고 커밋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h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다음은 단계별로 설명한 예시입니다:


```sh

#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cd my_project


# Git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 모든 파일 추가

git add .


# 첫 커밋 만들기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이제 `my_project` 디렉토리는 Git으로 버전 관리되는 저장소가 되었습니다. 이후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거나 브랜치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itHub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sh

# 원격 저장소 추가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yourusername/your-repo.git


#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

git push -u origin master

```


이 단계를 따르면 로컬 Git 저장소를 GitHub와 같은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고, 변경 사항을 푸시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