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c 코덱이란?

    

 코덱(codec)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를 인코딩(압축)하고 디코딩(해제)하는 기술입니다. 코덱은 주로 오디오와 비디오 파일을 다루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기술의 목적은 파일 크기를 줄이고(인코딩), 이후에 이 파일을 원래 형식으로 복원(디코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1. **인코딩(압축)**: 이 과정에서 코덱은 데이터를 더 작은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예를 들어, 오디오나 비디오 파일은 원본 상태에서 매우 크기 때문에,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압축이 필요합니다. 압축 방식에는 일반적으로 '손실(lossy)'과 '무손실(lossless)' 두 가지가 있습니다. 손실 압축은 데이터의 일부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지만, 무손실 압축은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파일 크기를 줄입니다.


2. **디코딩(해제)**: 이 과정에서 코덱은 압축된 데이터를 원래 형태로 복원합니다. 예를 들어, 압축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할 때, 적절한 코덱이 해당 파일을 디코딩하여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코덱은 다양한 형태와 표준으로 존재합니다. 오디오 코덱으로는 MP3, AAC, FLAC 등이 있으며, 비디오 코덱으로는 H.264, HEVC(H.265), VP9 등이 있습니다. 각 코덱은 특정 용도에 맞게 최적화되어 있으며, 호환성, 품질, 압축률 등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비디오 스트리밍에 코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대량의 비디오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코덱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1. **데이터 압축**: 코덱은 비디오 파일을 압축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송 시 필요한 대역폭을 줄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빠르고 원활한 스트리밍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품질 유지**: 좋은 코덱은 파일 크기를 줄이면서도 비디오 품질을 최대한 유지합니다. 이는 고화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3. **호환성**: 다양한 장치와 플랫폼에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코덱은 널리 지원되고 호환되는 형식이어야 합니다.


4. **적응적 스트리밍**: 많은 스트리밍 서비스는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비디오 품질을 조정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해상도와 비트레이트에서 동일한 비디오를 인코딩해야 합니다.


인기 있는 스트리밍 코덱으로는 H.264(AVC), H.265(HEVC), VP9 등이 있으며, 각각은 압축 효율, 품질, 호환성 측면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더 나은 압축률과 품질을 제공하는 새로운 코덱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