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K 스택

    

 ELK 스택은 "Elasticsearch", "Logstash", 그리고 "Kibana"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의 약자로, 주로 로그 관리와 분석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도구 모음입니다. 각 구성 요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Elasticsearch**

   - **역할**: 분산형 검색 및 분석 엔진.

   - **기능**:

     -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검색, 분석할 수 있습니다.

     - JSON 기반의 문서 지향적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내장된 RESTful API를 통해 데이터 인덱싱, 검색, 관리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 분산된 아키텍처로 확장성과 내고장성을 제공합니다.


2. **Logstash**

   - **역할**: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도구.

   - **기능**:

     - 다양한 소스(로그 파일, DB, 큐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데이터를 파싱, 변환, 정리하고 Elasticsearch와 같은 대상으로 전송합니다.

     -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로 다양한 입력, 필터, 출력 옵션을 제공합니다.


3. **Kibana**

   - **역할**: 데이터 시각화 및 대시보드 툴.

   - **기능**:

     -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합니다.

     - 다양한 차트, 그래프, 지도 등의 시각화 옵션을 제공하여 복잡한 데이터 세트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돕습니다.

     - 대시보드를 통해 여러 시각화를 조합하여 중요한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로그 데이터에 대한 검색, 필터링 및 질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ELK 스택은 함께 동작하며, Logstash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Elasticsearch에 저장하고, Kibana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구조로 동작합니다. 이 스택은 특히 로그 분석, 성능 모니터링,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SIEM)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Beats"라는 경량 데이터 수집기도 ELK 스택에 포함되면서, "Elastic Stack" 또는 "ELK+Beats 스택"으로도 불리게 되었습니다. Beats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직접 Elasticsearch 또는 Logstash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사용하는 방법 조금더 자세히

ELK 스택을 사용하는 방법은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목표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흐름과 주요 컴포넌트의 사용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 1. 데이터 수집: Logstash와 Beats


- **Logstash**: 

  - 다양한 소스에서 로그나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input`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특정 데이터 소스를 지정합니다. (예: 파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 `filter` 플러그인으로 데이터 변환, enrichment, parsing 등을 수행합니다.

  - `output` 플러그인을 통해 데이터를 Elasticsearch로 전송합니다.

  

- **Beats**: 

  - 경량 로그 발신기로, 다양한 데이터를 직접 Elasticsearch나 Logstash로 전송합니다.

  - 예를 들어, `Filebeat`는 로그 파일을 추적하고, `Metricbeat`는 시스템 메트릭을 수집합니다.


### 2. 데이터 저장 및 검색: Elasticsearch


- **Elasticsearch**: 

  - 수집된 데이터를 인덱스하여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 및 질의가 가능하게 합니다.

  - RESTful API를 통해 데이터 CRUD, 검색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 클러스터 구성, 샤딩, 복제 등의 기능으로 확장성 및 고가용성을 제공합니다.


### 3. 데이터 시각화 및 탐색: Kibana


- **Kibana**: 

  -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합니다.

  - 다양한 차트, 그래프, 대시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합니다.

  - "Discover"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탐색하고, 특정 조건에 따른 필터링 및 검색을 수행합니다.

  - "Visualize" 및 "Dashboard" 기능으로 다양한 시각화와 대시보드를 생성 및 관리합니다.

  - "Dev Tools"를 사용하여 Elasticsearch에 직접적인 질의를 수행하거나 설정/관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및 추가 팁:


- **보안**: ELK 스택은 기본적으로 보안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X-Pack이나 오픈 소스인 OpenDistro for Elasticsearch와 같은 확장 기능을 사용하여 인증, 인가, 암호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Elasticsearch와 Kibana는 운영 중인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 상황을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 **퍼포먼스**: 대용량 데이터나 높은 트래픽을 처리할 경우, Elasticsearch의 클러스터 설정, 샤딩 전략, 하드웨어 최적화 등의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이렇게 간략하게 소개한 것은 ELK 스택의 기본적인 흐름입니다. 실제 환경에서는 특정 요구사항, 데이터 형식, 인프라 등에 따라 구성과 사용 방법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ELK 스택의 각 컴포넌트는 매우 다양한 설정 옵션과 확장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모두 무료인가?

ELK 스택의 세 주요 구성 요소인 Elasticsearch, Logstash, 그리고 Kibana는 모두 Elastic 회사에 의해 개발되었고, Apache 2.0 라이선스 하에 오픈소스로 제공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기능들은 오픈소스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lastic 회사는 이들 기본 제품 위에 상용 기능과 서비스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상용 버전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용 버전에는 고급 보안 기능, 모니터링, 경고, 보고서 생성, 기계 학습 기능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추가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합니다.


요약하면:

-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의 기본 버전은 오픈소스로 제공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추가 고급 기능을 갖춘 상용 버전을 사용하려면 유료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Elastic 회사의 제품 및 라이선스 정책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가장 최신의 정보와 기능 목록은 공식 Elastic 웹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Elasticsearch vs Logstash

Elasticsearch와 Logstash의 기본 역할은 서로 다릅니다. 그러나 어떤 기능적인 면에서는 두 도구의 역할이 약간 중복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주요 역할을 살펴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1. **Elasticsearch**

   - **주요 역할**: 분산형 검색 및 분석 엔진입니다.

   - Elasticsearch는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하고 집계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주로 데이터의 저장, 검색, 분석을 담당합니다.


2. **Logstash**

   - **주요 역할**: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도구입니다.

   - Logstash는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 변환(파싱, 변환, 필터링)한 후 Elasticsearch와 같은 대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주로 로그 및 이벤트 데이터의 수집 및 변환을 담당합니다.


이 두 도구의 주요 역할을 보면, Elasticsearch는 주로 데이터 저장 및 검색에, Logstash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에 중점을 둡니다.


그렇다면 어디서 중복될 수 있을까요?


- **데이터 변환 및 처리**: Elasticsearch는 "ingest node"라는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받아들일 때 간단한 변환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Logstash도 비슷한 변환 및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경우, Elasticsearch만으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Logstash의 중복 사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데이터 변환,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수집, 여러 대상으로의 데이터 전송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Logstash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필요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Elasticsearch와 Logstash는 각기 다른 주요 역할을 가지며, 특정 기능적인 부분에서 중복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 사례에서는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합니다.


## Curator, Kafka, Prometheus, Grafana 은??


이 툴들에 대한 현재까지의 정보(2022년 1월 기준)를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Curator**

   - **설명**: Elasticsearch 클러스터의 인덱스 관리 도구로,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인덱스를 최적화하는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는데 사용됩니다.

   - **라이선스**: Apache License 2.0을 따르는 오픈소스입니다. 따라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Kafka**

   - **설명**: 대규모 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분산형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 **라이선스**: Apache License 2.0을 따르는 오픈소스입니다. 기본적인 Kafka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Confluent와 같은 회사들은 Kafka 위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상용 버전도 제공합니다.


3. **Prometheus**

   - **설명**: 시스템 및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오픈소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및 경고 도구입니다.

   - **라이선스**: Apache License 2.0을 따르는 오픈소스입니다. 따라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Grafana**

   - **설명**: 시계열 데이터 시각화 및 대시보드 생성 도구로, Prometheus, Elasticsearch, InfluxDB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통합될 수 있습니다.

   - **라이선스**: AGPLv3 라이선스를 따르는 오픈소스 버전이 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rafana Labs는 추가 기능이나 통합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버전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유료입니다.


대부분의 위 툴들은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추가 기능이나 서비스, 기술 지원 등을 위해 상용 버전이나 유료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프로젝트나 용도에 따라 필요한 기능과 라이선스를 검토하고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kibana는 무엇인가?


**Kibana**는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탐색하기 위한 공식 웹 인터페이스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검색 및 필터링

- 다양한 시각화 작성 (차트, 그래프, 지도 등)

- 대시보드 생성 및 관리

- 타임라인 기반의 로그 데이터 탐색

- 기타 고급 기능 (ML 기반의 이상 탐지, 그래프 탐색 등)


**Kibana**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Kibana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탐색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Kibana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다양한 시각화 (차트, 그래프, 지도 등) 생성

- 커스텀 대시보드 구축 및 관리

- 로그 데이터나 타임라인 기반의 데이터 탐색

- Elasticsearch의 상태 및 성능 모니터링

- 그 외 여러 고급 기능 (알림 설정, 기계 학습 기반의 이상 탐지 등)


Kibana는 웹 서버로 동작하며, 설정된 포트(기본적으로 5601)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Kibana의 URL을 입력하여 인터페이스에 접근하게 됩니다.


Kibana는 주로 다음의 기술 스택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1. **Node.js**: Kibana의 서버 사이드는 Node.js 위에서 동작합니다. Node.js는 비동기 이벤트 주도 JavaScript 런타임으로,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적합합니다. Kibana의 백엔드 로직 및 Elasticsearch와의 통신은 Node.js를 사용하여 처리됩니다.


2. **Express.js**: Kibana의 웹 서버는 Express.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합니다. Express.js는 Node.js를 위한 가볍고 유연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3. **Elasticsearch 클라이언트**: Kibana는 Elasticsearch와 통신하기 위해 공식 Elasticsearch JavaScript 클라이언트를 사용합니다.


4. **React 및 Angular**: Kibana의 프론트엔드는 원래 AngularJS를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나, 최근 버전들에서는 React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포넌트 기반의 UI와 상태 관리를 위해 React를 활용하며, 일부 구성 요소나 레거시 부분은 여전히 Angula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5. **Less**: Kibana의 스타일링은 주로 Less를 사용하여 작성됩니다. Less는 CSS 프리프로세서로, 변수, 믹스인, 함수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CSS 코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돕습니다.


6. **EUI**: 이는 Elastic에서 만든 React 기반의 UI 프레임워크로, Kibana의 주요 UI 컴포넌트를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Kibana의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도구가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위의 항목들은 주요 기술 스택 중 일부를 나열한 것입니다.


Kibana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GitHub에서 그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Kibana 버전들은 많은 부분이 React를 사용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리액트에 익숙하다면 Kibana의 프론트엔드 부분을 수정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다만, Kibana를 직접 수정하기 전에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코드베이스 이해**: Kibana는 큰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전체 코드베이스나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원하는 부분을 수정하기 전에 전체 구조와 동작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라이선싱**: Kibana는 Apache License 2.0 하에 라이선스되어 있습니다. 이 라이선스 조건 내에서 변경사항을 적용하거나 배포할 수 있습니다.


3.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 직접 수정한 Kibana의 버전은 업스트림(원본) 프로젝트와 다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Elastic에서 새 버전을 출시할 때마다 변경사항을 병합하거나 유지보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4. **플러그인 구조**: Kibana는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지원합니다. 원하는 기능이나 변경사항을 직접 Kibana의 코드에 적용하기보다는 플러그인 형태로 개발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이 방법은 Kibana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면서도 원본 코드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사항들을 고려하면서 필요에 따라 Kibana의 코드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변경사항이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하다고 판단되면, GitHub을 통해 공식 Kibana 프로젝트에 기여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Kibana는 Node.js 기반의 웹 서버로 동작하며, 로컬 머신에서 실행할 때 기본적으로 `localhost`의 `5601` 포트에서 동작합니다.


Kibana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5601` 주소로 접속하여 Kibana의 대시보드와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Kibana의 설정 파일(`kibana.yml`)을 수정함으로써, 실행 포트, Elasticsearch 인스턴스의 위치, 다른 설정들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하려면 해당 설정을 적절히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요약하면, Kibana는 로컬 웹 서버로 동작하며, 기본적으로는 로컬 머신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 기존에 있는 서버 환경에 ELK 서버 세팅하는 법

ELK 스택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는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서버 환경에도 쉽게 세팅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ELK를 기존 서버에 세팅하는 기본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환경 확인**: ELK 컴포넌트들은 일정한 시스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버의 OS, 메모리, 저장공간 등이 ELK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2. **Elasticsearch 설치**: 

   - Elasticsearch 공식 문서의 설치 가이드를 따라 설치합니다.

   - Elasticsearch를 실행하고 `http://localhost:9200` 주소로 접근해 동작을 확인합니다.


3. **Logstash 설치**:

   - Logstash의 공식 설치 가이드를 따라 설치합니다.

   - 입력, 변환, 출력에 대한 설정 파일을 생성하여 Logstash를 설정합니다.

   - Logstash를 실행하여 데이터 수집 및 처리가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4. **Kibana 설치**:

   - Kibana의 공식 설치 가이드를 따라 설치합니다.

   - Kibana를 실행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localhost:5601` 주소로 접근해 동작을 확인합니다.

   - Elasticsearch와 연동을 확인하고, 데이터 시각화 및 대시보드를 설정합니다.


5. **Beats (선택사항)**:

   - 필요한 경우, Filebeat, Metricbeat 등의 Beats를 설치하여 데이터 수집을 확장합니다.

   - Beats의 설정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 소스를 지정하고, Elasticsearch나 Logstash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합니다.


6. **보안 및 최적화**:

   - 외부 접근을 허용하는 경우, Elasticsearch와 Kibana에 대한 보안 설정이 필요합니다.

   - 대규모의 데이터 처리나 트래픽이 예상되는 경우, 성능 최적화 및 클러스터링 설정을 고려합니다.


기존 서버에 ELK를 세팅할 때, 해당 서버의 역할과 부하,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소스 할당과 구성이 필요합니다. ELK의 각 컴포넌트는 리소스 요구량이 있으므로, 서버의 성능과 리소스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최적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서버에 직접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Kibana를 사용하게 하기

Kibana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Kibana가 동작하는 서버가 외부 네트워크에 열려 있고 적절한 보안 설정이 되어 있다면, 서버에 직접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Kiban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한 주요 설정 및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ibana 설정 변경**: `kibana.yml` 설정 파일에서 `server.host`를 수정하여 Kibana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server.host: "0.0.0.0"`로 설정하면 모든 IP에서 접근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설정하는 것은 보안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적절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2. **방화벽 설정**: Kibana가 동작하는 서버의 방화벽 설정을 통해 Kibana의 포트 (기본적으로 5601)가 외부로 열려 있어야 합니다.


3. **보안 설정**: Elasticsearch와 Kibana 모두 X-Pack (혹은 Elastic Stack의 다른 보안 기능)를 사용하여 기본 인증, 역할 기반 접근 제어, SSL/TLS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외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때는 이러한 보안 기능을 활성화하고 적절히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외부 사용자 접근**: 외부 사용자는 Kibana가 설치된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Kibana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예: `http://<your_server_ip>:5601`


5. **(선택사항) 리버스 프록시 설정**: Nginx, Apache와 같은 웹 서버를 리버스 프록시로 사용하여 Kibana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하면 추가적인 보안, SSL/TLS 설정, 로드 밸런싱 등의 기능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서버 접근 권한이 없는 외부 사용자도 Kibana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탐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kibana 포트 열때 주의점

Kibana의 포트 (기본적으로 5601)를 외부에 공개하면 다른 사람들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Kibana 대시보드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그냥 포트를 공개하는 것만으로는 여러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과 단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1. **보안 설정**: Elasticsearch와 Kibana는 기본적으로 보안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외부에 포트를 열 경우, 인증 없이 누구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X-Pack 보안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OpenDistro for Elasticsearch와 같은 대체 솔루션을 사용하여 인증 및 인가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2. **SSL/TLS**: 통신 내용이 중간에서 가로채지 않도록, Kibana와 Elasticsearch 간의 통신 및 사용자와 Kibana 간의 통신에 SSL/TLS 암호화를 적용해야 합니다.


3. **방화벽 및 네트워크 설정**: Kibana 포트 외의 불필요한 포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화벽 설정을 해야 합니다. 또한, Elasticsearch 포트 (기본적으로 920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 **리버스 프록시**: Nginx나 Apache 같은 웹 서버를 사용하여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하면 추가적인 보안, SSL/TLS 설정, 로드 밸런싱 등의 기능을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5.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백업**: 외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시스템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요 데이터의 백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6. **IP 제한**: 가능하다면, 특정 IP 주소나 IP 범위에서만 Kibana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위와 같은 보안 및 운영 관련 사항을 철저히 고려하면, 서버 접근 권한이 없는 외부 사용자도 Kibana 대시보드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elastic search를 포트 열어서 다른 사람에게 접근 권한을 주면?

Elasticsearch도 포트를 열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하게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Elasticsearch는 `9200` 포트에서 HTTP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포트를 외부에 공개하면 다른 사람들도 Elasticsearch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Elasticsearch를 외부에 직접 노출하는 것은 여러 가지 위험을 수반합니다:


1. **데이터 노출**: 기본 설정에서 Elasticsearch는 인증 메커니즘이 없습니다. 외부에 열 경우, 누구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2. **악의적 조작**: 누구나 인덱스를 생성, 삭제,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 손실이나 데이터 변조의 위험이 있습니다.

  

3. **서비스 거부 공격 (DoS)**: 악의적인 사용자가 서비스에 과도한 요청을 보내 서비스를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


외부 사용자에게 Elasticsearch에 접근을 허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보안 조치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인증 및 인가**: X-Pack Security 또는 OpenDistro for Elasticsearch의 보안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 및 인가를 구현합니다. 


2. **SSL/TLS 암호화**: 데이터 전송의 안전을 위해 SSL/TLS를 통한 암호화를 설정합니다.


3. **방화벽 및 네트워크 설정**: Elasticsearch 포트 외의 불필요한 포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화벽 설정을 해야 합니다. 또한, 가능한 경우 특정 IP 주소나 IP 범위에서만 Elasticsearch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해야 합니다.


4. **리버스 프록시**: Nginx나 Apache 같은 웹 서버를 사용하여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하면 추가적인 보안 및 로드 밸런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를 외부에 노출하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 접근을 허용하고, 꼭 필요한 보안 조치를 적용한 후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 Kibana와 Elasticsearch를 외부에 노출할 때의 주요 차이점

Kibana와 Elasticsearch는 다른 용도와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에 포트를 노출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보안 문제는 매우 유사합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인터랙션하는 도구인 Kibana와 달리 Elasticsearch는 주로 백엔드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외부 접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Kibana와 Elasticsearch를 외부에 노출할 때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1. **용도의 차이**:

   - **Kibana**: 사용자가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Elasticsearch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용도로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위한 도구입니다.

   - **Elasticsearch**: 실제 데이터 저장, 검색, 및 분석을 담당하는 백엔드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외부 접근 없이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됩니다.


2. **보안 고려사항**:

   - **Kibana**: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인증 및 인가, 세션 관리, XSS나 CSRF와 같은 웹 공격에 대한 방어 등의 웹 보안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Elasticsearch**: 데이터 저장 및 접근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노출, 악의적인 질의, 인덱스 조작 등의 보안 사항을 주로 고려해야 합니다.


3. **접근 패턴**:

   - **Kibana**: 사용자는 주로 읽기 위주의 요청 (데이터 탐색 및 시각화 조회)을 수행합니다.

   - **Elasticsearch**: 읽기와 쓰기, 수정, 삭제 등 다양한 요청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4. **포트 번호**:

   - **Kibana**: 기본적으로 `5601` 포트에서 동작합니다.

   - **Elasticsearch**: 기본적으로 `9200` 포트에서 동작합니다.


결론적으로, Kibana나 Elasticsearch를 외부에 노출할 때는 보안을 철저히 고려해야 합니다. Kibana는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구이므로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지만, Elasticsearch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경우에만 특정 IP 또는 네트워크에서의 접근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Kibana vs Elasticsearch

Elasticsearch와 Kibana는 모두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역할과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다음은 두 컴포넌트의 검색 기능에 대한 주요 차이점입니다:


### Elasticsearch:


1. **역할**: Elasticsearch는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 인덱싱하고 검색 질의를 처리하는 분산형 검색 및 분석 엔진입니다.

   

2. **검색 기능**:

   - 다양한 복잡한 검색 질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검색, 정렬, 집계, 필터링, 지리적 검색 등)

   - RESTful API를 통해 검색 질의를 수행하며, 결과는 JSON 형식으로 반환됩니다.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검색이 가능하며, 높은 확장성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 Kibana:


1. **역할**: Kibana는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입니다.

   

2. **검색 기능**:

   - **"Discover"** 섹션에서 Elasticsearch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며, 간단한 검색 및 필터링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는 특정 키워드나 조건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결과는 시각적으로 표현됩니다.

   - 복잡한 검색 질의 작성 없이도 UI를 통해 데이터 탐색과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Kibana 내에서 수행되는 검색은 내부적으로 Elasticsearch의 검색 API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 주요 차이점:


- **Elasticsearch**는 실제 검색 엔진으로, 복잡한 검색 질의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API를 통해 직접 검색 질의를 전송하고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 **Kibana**는 Elasticsearch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탐색하고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Kibana 내에서 수행되는 모든 검색 및 시각화 기능은 내부적으로 Elasticsearch의 기능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Kibana의 검색 기능은 Elasticsearch 위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kibana 없이 elastic search 만으로 검색 엔진 기능만 활용해서 쓰는 경우


Elasticsearch는 독립적인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서 자체적으로 매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Kibana는 Elasticsearch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일 뿐입니다. 따라서 많은 프로젝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Elasticsearch만을 독립적으로 활용하여 검색 엔진 기능을 구현합니다.


Elasticsearch만으로 검색 엔진 기능을 활용하는 주요한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내 검색 기능**: 많은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들이 데이터나 상품, 게시글 등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Elasticsearch는 이러한 검색 기능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 **로그 분석 및 모니터링**: 다양한 시스템 로그나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Elasticsearch에 저장하고, 특정 이벤트나 오류를 신속하게 검색하거나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3.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다양한 데이터를 Elasticsearch에 저장하고, 특정 조건이나 키워드로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집계하는 데 활용됩니다.


4. **추천 시스템**: 사용자의 행동 패턴, 구매 기록 등을 기반으로 Elasticsearch의 검색 및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추천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5. **지리적 정보 검색**: Elasticsearch의 Geo-queries 기능을 활용하여 위치 기반의 검색 기능을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상점이나 관광지를 검색하는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는 RESTful API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쉽게 연동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은 Elasticsearch의 검색 엔진 기능만을 활용하여 특정 목적에 맞는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Elasticsearch는 RESTful API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쉽게 연동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문장은 Elasticsearch의 핵심 특징과 그로 인한 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문장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Elasticsearch는 RESTful API를 제공한다**:

   - **RESTful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 서비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설계 패러다임 중 하나로, 리소스(데이터나 서비스)에 URL을 통해 접근하고, HTTP 메서드 (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하여 리소스를 조작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Elasticsearch에서는 인덱싱, 검색, 삭제, 수정 등의 다양한 작업을 RESTful API를 통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쉽게 연동하고 활용할 수 있다**:

   - RESTful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므로, HTTP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Python, Java, JavaScript, Ruby, G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에서 Elasticsearch의 기능을 활용하려면 해당 언어에서 제공하는 HTTP 라이브러리나 Elasticsearch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PI 요청을 보내면 됩니다.

   - 이로 인해 개발자는 자신이 선호하거나 프로젝트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하여 Elasticsearch와 손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문장은 Elasticsearch의 기능을 웹 기반의 API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API는 대부분의 개발 환경과 잘 호환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elastic search에서 HTTP api 제공


Elasticsearch는 API를 통해 데이터의 CRUD (생성, 읽기, 수정, 삭제) 작업, 검색,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므로, HTTP 요청을 통해 Elasticsearch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 **데이터 삽입 (Indexing)**: HTTP `POST` 또는 `PUT` 메서드를 사용하여 특정 인덱스에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http

   POST /my-index/_doc/

   {

     "name": "John",

     "age": 30

   }

   ```


2. **데이터 검색**: HTTP `GET` 메서드를 사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http

   GET /my-index/_search?q=name:John

   ```


3. **데이터 수정**: HTTP `POST` 또는 `PUT` 메서드를 사용하여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삭제**: HTTP `DELETE`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API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서비스 등에서 Elasticsearch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Elasticsearch는 백엔드 검색 엔진으로서 다양한 프론트엔드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