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와 Docker Compose는 모두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실행을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주요 사용 용도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Docker:
1. **컨테이너 플랫폼**: Docker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을 컨테이너에 패키징하여, 어디에서든 동일한 환경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도커 명령어**: Docker CLI를 통해 이미지를 빌드, 실행, 중지하고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cker build`, `docker run`, `docker stop` 등의 명령어가 있습니다.
3. **Dockerfile**: 애플리케이션과 의존성을 포함하는 Docker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설명서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개별 상자: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작은 상자(컨테이너)를 만드는 도구입니다.
명령어 예: docker run 이미지이름으로 상자(컨테이너)를 열 수 있습니다.
### Docker Compose:
1. **다중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Docker Compose는 여러 컨테이너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예를 들면,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캐시 서버 등 여러 서비스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YAML 파일**: `docker-compose.yml` 파일에 여러 서비스, 네트워크, 볼륨 등을 정의합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여 전체 애플리케이션 스택을 시작, 중지, 빌드할 수 있습니다.
3. **명령어 간소화**: `docker-compose up` 명령어 하나로 `docker-compose.yml`에 정의된 모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docker-compose down`으로 모든 서비스를 중지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상자 세트: 여러 개의 상자(컨테이너)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도구입니다. 이 상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 웹 서버 상자와 데이터베이스 상자)
명령어 예: docker-compose up으로 모든 상자들을 한꺼번에 열 수 있습니다.
### 요약:
- **Docker**는 개별적인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고 실행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주로 단일 컨테이너 작업에 사용됩니다.
- **Docker Compose**는 여러 컨테이너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의 정의와 실행을 단순화하며,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여러 서비스를 함께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
Docker: 당신의 집에 하나의 장난감(컨테이너)을 가져와 놀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Docker Compose: 여러 개의 장난감(컨테이너)을 동시에 가져와 서로 상호작용하며 놀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 그렇다면 왜 도커에서 기본적으로 docker compose 처럼 여러개를 한번에 하도록 지원하지 않는지?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대중화하면서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이라는 철학을 따랐습니다. 이 철학은 Unix의 설계 원칙 중 하나인 "하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일을 잘하도록 만들라"와 일치합니다.
Docker의 주요 목적은 개별 컨테이너의 이미지 생성, 실행, 관리 등의 기본 동작을 처리하는 것이었습니다. 복잡한 다중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은 이 목적을 벗어나는 일이었기 때문에, Docker Compose와 같은 추가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Docker Compose를 별도의 도구로 만듬으로써, Docker는 그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Docker Compose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Docker Compose 외에도 Kubernetes와 같은 더 복잡한 오케스트레이션 도구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를 위해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다중 컨테이너 환경의 관리를 위한 별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며, Docker의 기본적인 목적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요약하면, Docker와 Docker Compose가 분리된 이유는 각 도구가 목적에 맞는 최적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도구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