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크로스 사이트 요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기술 중 하나는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입니다. CORS는 서버에서 응답 헤더를 설정함으로써, 특정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해당 서버의 리소스(API 포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CORS를 설정하면 서버는 다음과 같은 HTTP 응답 헤더를 포함하여 보냅니다:
```
Access-Control-Allow-Origin: https://example.com
```
위의 예제에서, 서버는 `https://example.com` 도메인에서의 요청만 해당 서버의 리소스에 접근하도록 허용하게 됩니다.
또한, 여러 도메인을 허용하려면 서버 로직을 구현하여 올바른 `Origin` 헤더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Access-Control-Allow-Origin`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 상의 이유로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의 값으로 `*`를 사용하여 모든 웹사이트를 허용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CORS 설정은 주로 백엔드 서버나 API 서버의 설정에서 수행되며,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나 서버 종류에 따라 구성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CORS 정책을 통해, API 사용을 특정 사이트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CORS는 웹 페이지가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칙을 정의합니다. 그러므로, CORS 자체는 모바일 앱과 같은 웹 브라우저 외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 제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특정 앱으로 API 접근을 제한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1. **API 키**: 각 앱에 고유한 API 키를 제공하고, 이 키를 사용하여 요청을 인증하도록 서버를 설정합니다. 서버는 유효한 API 키를 가진 요청만 처리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완벽하진 않습니다. 악의적인 사용자가 API 키를 추출하려 할 경우 앱의 바이너리에서 키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 **OAuth**: 사용자를 인증하고 특정 앱에 대한 토큰을 발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OAuth를 사용하면 서버는 유효한 토큰을 가진 요청만을 처리합니다.
3. **SSL/Pinning**: 앱과 서버 간의 통신에 SSL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되, 앱에 서버의 인증서를 포함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앱은 특정 서버와만 통신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4. **App Attestation**: 특정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앱의 정당성을 검증합니다. 예를 들어, Android SafetyNet Attestation이나 Apple's DeviceCheck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여 앱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모든 보안 메커니즘이 완벽하진 않기 때문에 다양한 보안 레이어와 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