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관리 도구 apt-get yum

    

## 도구 있는지 확인 

시스템에 `apt-get` (데비안/우분투 기반 시스템의 패키지 관리 도구) 또는 `yum` (Red Hat 기반 시스템의 패키지 관리 도구)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명령어의 존재 확인**:

   `which` 또는 `command -v`를 사용하여 명령어의 경로를 확인합니다.

   ```bash

   which apt-get

   ```

   또는

   ```bash

   command -v apt-get

   ```

   위 명령어들 중 하나를 실행하면 `apt-get`의 경로가 출력됩니다. 만약 아무런 출력이 없다면 해당 명령어는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yum`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버전 확인**:

   설치된 패키지 관리 도구의 버전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bash

   apt-get --version

   ```

   또는

   ```bash

   yum --version

   ```

   이 명령어들은 각각의 패키지 관리 도구의 버전 정보를 출력합니다. 만약 해당 도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시스템에 어떤 패키지 관리 도구가 설치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버전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yum` vs  `apt-get`

`yum`과 `apt-get`은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사용되는 주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각 도구는 배포판의 유형과 철학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특정한 목적과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두 도구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포판**:

   - `yum`: 주로 Red 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entOS, Fedora,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등에서 사용됩니다.

   - `apt-get`: 주로 Debian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Debian, Ubuntu, Linux Mint 등에서 사용됩니다.


2. **패키지 형식**:

   - `yum`: RPM (Red Hat Package Manager) 형식의 패키지를 관리합니다.

   - `apt-get`: DEB 형식의 패키지를 관리합니다.


3. **의존성 해결**:

   - `yum`: 자동으로 패키지의 의존성을 해결합니다.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필요한 의존 패키지들도 함께 설치합니다.

   - `apt-get`: `yum`과 마찬가지로 자동 의존성 해결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4. **명령어 구문**:

   - `yum`: 명령어 구문이 조금 더 직관적입니다. 예를 들어, `yum install [package]`, `yum remove [package]` 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 `apt-get`: 주로 `apt-get install [package]`, `apt-get remove [package]` 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apt`라는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예: `apt install [package]`).


5. **기타 도구 및 유틸리티**:

   - `yum`: `yum`에는 추가적인 유틸리티와 플러그인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yum-config-manager`를 사용하여 리포지토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apt-get`: `apt-get` 외에도 `apt-cache`, `dpkg` 등 다양한 유틸리티와 함께 동작합니다.


6.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

   - `yum`: `yum update` 명령어로 패키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apt-get`: `apt-get update`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apt-get upgrade`로 설치된 패키지들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두 도구 모두 리눅스 시스템에서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삭제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사용하는 배포판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Red 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주로 CentOS, Fedora,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등에서 사용됩니다. `yum`은 RPM 패키지를 관리하며, 패키지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합니다.


## yum 사용법

다음은 `yum`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요약한 것입니다:


1. **패키지 설치**:

   ```bash

   yum install [package-name]

   ```


2. **패키지 제거**:

   ```bash

   yum remove [package-name]

   ```


3. **패키지 업데이트**:

   -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bash

     yum update

     ```

   - 특정 패키지 업데이트:

     ```bash

     yum update [package-name]

     ```


4. **모든 패키지 목록 조회**:

   ```bash

   yum list

   ```


5. **설치된 패키지 목록 조회**:

   ```bash

   yum list installed

   ```


6. **특정 패키지 정보 조회**:

   ```bash

   yum info [package-name]

   ```


7. **패키지 검색**:

   ```bash

   yum search [keyword]

   ```


8. **패키지 그룹 설치**:

   ```bash

   yum groupinstall "[Group Name]"

   ```


9. **리포지토리 목록 확인**:

   ```bash

   yum repolist

   ```


10. **특정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확인**:

   ```bash

   yum deplist [package-name]

   ```


11. **시스템 업그레이드** (Fedora에서 주로 사용):

   ```bash

   yum distro-sync

   ```


12. **캐시 삭제**:

   ```bash

   yum clean all

   ```


`yum`은 사용하기 쉬운 패키지 관리 도구이며, 의존성 해결 기능 덕분에 RPM 기반 시스템에서 패키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명령어들은 `yum`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보여주는 것뿐이며, 더 많은 옵션과 기능이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man yum` 명령어로 `yum`의 매뉴얼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s 스트링에서 요소 갯수 세기

STUDY

javascript cheat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