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3의 게시물 표시

firebase 대용?

firebase 대용?  https://pocketbase.io/ 모바일에 특화된 듯? 자세히는 안봄 appwrite supabase nhost aws amplify mongoDB의 realm 도 비슷한 듯

HTML5 Canvas, Phaser, Three.js, Babylon.js, CreateJS

 이 라이브러리와 기술은 웹 기반 그래픽과 게임 개발에 주로 사용됩니다.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HTML5 Canvas - **언어**: HTML/CSS/JavaScript - **특징**: HTML5 표준의 일부로, 2D 그래픽을 그리기 위한 API를 제공합니다. - **용도**: 간단한 그래픽, 애니메이션, 게임 개발. - **장점**: 브라우저 지원이 넓고, 추가 라이브러리 없이 사용 가능. - **단점**: 3D 그래픽 지원이 없고, 복잡한 기능은 직접 구현해야 함. ### Phaser - **언어**: JavaScript - **특징**: 2D 게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 **용도**: 브라우저 기반 2D 게임. - **장점**: 풍부한 기능, 활발한 커뮤니티. - **단점**: 3D 지원이 제한적. ### Three.js - **언어**: JavaScript - **특징**: WebGL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3D 라이브러리. - **용도**: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게임. - **장점**: 강력한 3D 기능, 높은 유연성. - **단점**: 상대적으로 높은 학습 곡선. ### Babylon.js - **언어**: TypeScript/JavaScript - **특징**: 3D 그래픽을 위한 라이브러리, WebGL과 WebXR을 지원. - **용도**: 복잡한 3D 시뮬레이션, 게임, 가상 현실. - **장점**: 뛰어난 성능, 풍부한 기능. - **단점**: 학습 곡선이 다소 가파름. ### CreateJS - **언어**: JavaScript - **특징**: Adobe Flash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2D 그래픽 라이브러리. - **용도**: 2D 애니메이션, 게임. - **장점**: Flash에서의 경험을 쉽게 웹으로 옮길 수 있음. - **단점**: 3D 지원이 없음, Flash의 영향을 받아서 현대적이지 않을 수 있음.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목적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에 ...

리액트의 빈 태그 <> </>

 React에서 빈 태그인 `<>`와 `</>`를 사용하는 것을 "Fragment"라고 부릅니다. Fragment는 여러 개의 자식 요소를 그룹화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요소를 반환할 때에는 그 요소들을 하나의 부모 요소로 묶어야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불필요한 DOM 요소를 추가하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Fragment를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 일반적인 예: ```jsx function App() {   return (     <div>       <Child1 />       <Child2 />       <Child3 />     </div>   ); } ``` 위의 예에서는 모든 자식 컴포넌트가 `<div>` 태그로 묶여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div>` 태그가 DOM에 추가됩니다. ### Fragment를 사용한 예: ```jsx function App() {   return (     <>       <Child1 />       <Child2 />       <Child3 />     </>   ); } ``` 이 예에서는 `<>`와 `</>`로 자식 요소들을 묶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DOM 요소 없이 여러 자식 요소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Fragment는 컴포넌트가 여러 개의 요소를 반환해야 하지만, 추가적인 DOM 요소를 만들고 싶지 않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React의 Fragment (`<> ... </>`)는 Reac...

플러터 version: 1.0.0+1 뜻

Flutter에서 `version: 1.0.0+1`과 같은 표시는 앱의 버전 정보를 나타냅니다. 이 문자열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1. **Semantic Version (시맨틱 버전)**: `1.0.0` - 이 부분은 앱의 "시맨틱 버전"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Major].[Minor].[Patch]` 형식을 따릅니다.     - `Major`: 주요한 변화가 있을 때 증가시킵니다.     - `Minor`: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하위 호환성이 유지될 때 증가시킵니다.     - `Patch`: 버그 수정과 같은 작은 변화가 있을 때 증가시킵니다. 2. **Build Number (빌드 번호)**: `+1` - 이 부분은 앱의 "빌드 번호"를 나타냅니다. 이 번호는 앱의 각 빌드를 구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빌드가 생성될 때마다 이 번호를 증가시킵니다. ### Android에서 - `versionCode`는 빌드 번호에 해당합니다. 이 값은 정수여야 하며, 이전 버전보다 커야 합니다. - `versionName`은 시맨틱 버전에 해당합니다. ### iOS에서 - `CFBundleShortVersionString`은 시맨틱 버전에 해당합니다. - `CFBundleVersion`은 빌드 번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Flutter의 `version: 1.0.0+1` 설정은 Android의 `versionCode`를 1로, `versionName`을 "1.0.0"으로 설정하고, iOS의 `CFBundleVersion`을 1로, `CFBundleShortVersionString`을 "1.0.0"으로 설정합니다.

creat()

 creat() 자연스럽게 쓰다보니 영어 문법적으로 틀렸다는 것을 까먹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과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차이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과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차이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URL은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입니다. - URL은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구성 요소: `스킴(scheme)://호스트(host):포트(port)/경로(path)?쿼리(query)#프래그먼트(fragment)` - 예: `https://www.example.com:8080/page?id=1#section2`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URI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는 식별자입니다. - URI는 URL과 URN (Uniform Resource Name)을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 - 예: `mailto:example@example.com` (URL 아님, URI임), `https://www.example.com/page` (URL이면서 URI임) ### URL과 URI의 관계 - 모든 URL은 URI이지만, 모든 URI가 URL은 아닙니다. - URL은 자원의 위치와 접근 방법을 모두 지정하는 반면, URI는 자원을 단순히 식별만 할 수 있습니다. ### 비슷한 용어 #### URN (Uniform Resource Name) - URN은 자원의 이름을 제공하는 URI의 하위 집합입니다. - URN은 자원의 위치가 아닌, 자원의 이름을 고유하게 식별합니다. - 예: `urn:isbn:0451450523` (책의 ISBN 번호) #### Endpoint - API나 서비스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URI 또는 URL을 의미합니다. #### Base URL - API나 웹 서비스에서 공통된 부분의 URL을 의미합니다. - 예: `https://api.example.com/v1` 이후에 특정 경로가 추가됩니다. (`/users`, `/prod...

TLD (Top-Level Domain)와 gTLD (Generic Top-Level Domain)

TLD (Top-Level Domain)와 gTLD (Generic Top-Level Domain)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입니다. 이 두 용어의 차이와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TLD (Top-Level Domain): - **정의**: TLD는 인터넷 주소의 마지막 부분 (예: .com, .org, .net)을 나타냅니다. TLD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의 가장 높은 수준의 계층 구조에 있습니다. - **종류**:   1. **gTLD (Generic Top-Level Domain)**: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TLD (예: .com, .org, .net).   2. **ccTLD (Country Code Top-Level Domain)**: 특정 국가나 지역을 대표하는 TLD (예: .us for the United States, .kr for South Korea, .jp for Japan).   3. **sTLD (Sponsored Top-Level Domain)**: 특정 커뮤니티나 단체에 의해 후원되는 TLD (예: .edu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gov for U.S. government entities).   4. **iDNS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비영어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TLD (예: .中国, .рф). ### gTLD (Generic Top-Level Domain): - **정의**: gTLD는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TLD를 나타냅니다.  - **특징**: gTLD는 일반적으로 조직의 성격이나 목적에 따라 분류됩니다. 가장 흔하게 알려진 gTLD에는 .com, .net, .org 등이 있습니다. - **확장**: 최근에는 많은 새로운 gTLD가 추가되었으며, 이러한 확장으로 인해 브랜드, 도시, 취미 등 다양한 주제의 gTLD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 .app...

wine 툴

당장 필요하지는 않아서 설치는 안하지만 그냥 이름이 마음에 들어서 Wine (Wine Is Not an Emulator)은 유닉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예: Linux, macOS)에서 Microsoft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레이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Wine은 실제로는 "에뮬레이터"가 아니라, Windows API를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 구현한 것입니다. macOS에서의 Wine: 용도: macOS 사용자가 Windows 전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동작 방식: Wine은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이 원래 사용하려는 Windows API와 DLL을 유닉스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번역"합니다. 성능: 일반적으로, Wine을 통해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네이티브 Windows 환경에서 실행되는 것에 비해 성능 저하가 적습니다. 그러나 모든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이 완벽하게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설치: Homebrew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거나 공식 Wine 웹사이트에서 바이너리를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호환성: 모든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이 Wine에서 잘 작동하지는 않습니다. 일부는 문제 없이 작동할 수 있지만, 일부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4비트 지원: 최근 macOS 버전은 64비트 응용 프로그램만 지원하며, 이로 인해 Wine의 일부 버전과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래픽과 사운드: 고급 그래픽 또는 사운드 기능을 사용하는 게임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Wine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ine은 무료와 오픈 소스이며, 다양한 커뮤니티와 상업적 지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CrossOver" 같은 상업적 솔루션은 Wine을 기반으로 하며, 추가 기능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 왜 mac에는 homebrew 나 wine 처럼 술과 관련된 패키...

Mac 숨김 파일

  shift +command + .

netlify로 react 배포

이미지
<img alt="" data-original-height="1172" data-original-width="1180" height="240" src="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FiLkIXEf5QnE8PVmVYXV9ivxfH9oBzY6HNPOF--9hNcdM2XSEravQR-Lz4ccE5VcYhmKTJSJBw05aK5qytq3MNmQhya7XX6qJ-3L0vR0LWBnu2Jb7TVTWoY62qDogo1lFmS_j63_4TMKhzS4q2CIQG2eca_RiyLt7pZadj1nSA7yxt3VERzKOdwplxF60" width="242" /> create react app으로 보일러 플레이트 생성해서 시작했고 빌드 설정 이렇게 해놨더니 됨

Xcode 저장공간

 iOS Device Support 용량 너무 커서 지움. 필요할 때 다시 생성되는듯? 캐시도 그냥 지움 거의 합쳐서 10gb

mac에서 cmd로 파일 구조 tree 확인하기

  Homebrew로 tree를 다운 받아서 사용 brew install tree 윈도우에도 tree 기능이 있는 듯? 해보지는 않음

브라우저별 html css 사용 가능 범위 확인 사이트

  can i use 사이트에 검색하면됨 https://canius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