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5의 게시물 표시

vue

vue create vue3-project이름 vscode에 vetur 를 설치함 index.html있고 src에 main.js가 시작 포인트 템플릿 npm run serve로 시작 앱.뷰 단위 파일에 template script style이렇게 들어가 있다 컴포넌트 ==== .vue를 쓰면 그게 뷰 컴포넌트 세가지로 구정 template script style composition api는 스크립트 안에 export default { setup(){ 변수 선언이 가능해지는데 이걸로 템플릿안에서 사용 가능 → 변수인가? {{ name }} 이런식으로 사용가능 함수는 {{ hello() }} 이런식으로 사용가능 return 에 setup함수의 변수나 } } 이런식 vue2 → vue3로 바뀌면서 바뀐거 vue2에서는 템플릿 안에 하나의 태그(루트) 안에 모든 요소들이 있어야 했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 없음 이벤트는 템플릿의 태그 속성으로 바로 들어감 이런식으로 v-on:click ="함수이름괄호없이" 변수는 스테이트가 아니라서 바뀌어도 템플릿 반영 안됨 그러니까 ref를 사용해 줘야한다 import ref from vue...대충 한다음에 ref()이렇게 해줘야한다. → value를 꼭적어줘야하고 reactive도 있음 → value 적을 필요 없고 기본자료형과 object array만 사용가능 뭔차이지.. 단방향 바인딩 데이터 바인딩-데이터를 인풋이랑 연결하는거? 인데(유저 인풋을 받아가는건 아니고..) 태그의 속성들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아무튼 이건 어떻게 하냐면 <input type="text" v-bind:value="name"> 인풋의 value값을 name 변수랑 동기화 되게 한다.. v-bind:value="name"> 줄여서 :value="name"> 이렇게도 사용가능 v-on:click ="함수이름괄호없이" 이거도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