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4의 게시물 표시

js 자료형

JavaScript에는 여러 가지 기본 자료형(때때로 "원시(primitive)" 자료형이라고도 함)과 몇 가지 객체 타입이 있습니다. 이들을 이해하는 것은 JavaScript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합니다. ###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s) 기본 자료형은 그 자체로 불변하는 단일 값입니다. JavaScript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 자료형이 있습니다: 1. **Number**: 모든 숫자를 나타내며, 정수 및 부동 소수점 숫자를 포함합니다. 2. **BigInt**: 매우 큰 정수를 나타내기 위한 타입으로, 숫자 끝에 `n`을 붙여 사용합니다 (예: `9007199254740991n`). 3. **String**: 문자열을 나타내며, 텍스트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4. **Boolean**: 논리적인 값인 `true`와 `false`를 나타냅니다. 5. **Undefined**: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의 초기값으로 사용됩니다. 6. **Null**: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7. **Symbol**: ES6에서 추가된 타입으로, 고유하고 변경 불가능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주로 객체 속성의 키로 사용됩니다. ### 객체 (Object) 객체 타입은 여러 속성을 포함할 수 있는 복합 자료형입니다. JavaScript에서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며, 다음과 같은 내장 객체 타입이 있습니다: 1. **Object**: 키와 값의 쌍으로 구성된 구조로, 데이터와 기능을 모듈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2. **Array**: 순서가 있는 값의 집합을 나타내며, 숫자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Function**: 실행 가능한 코드 블록을 나타내며, 호출될 수 있습니다. 4. **Date**: 날짜와 시간을 나타냅니다. 5. **RegExp**: 정규 표현식을 나타내며, 문자열에 대한 패턴 매칭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6. **Map**: 키-값 쌍을 나타내며,...

python에서는 1 < 3 < 2 같은 표현이 유효

Python에서는 비교 연산자를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 3 < 2` 같은 표현은 Python에서 유효하며, 각 비교가 순차적으로 평가되어 최종적으로 `True` 또는 `False` 값을 반환합니다. 이 경우, `1 < 3`은 `True`이지만, `3 < 2`는 `False`이기 때문에 전체 표현식의 결과는 `False`가 됩니다.  ---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이 문법을 지원하지 않거나 다루는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Python의 이런 문법은 특히 직관적이고 편리하며, 수학적 표현과 유사하게 여러 조건을 연속해서 쓸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러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이런 식으로 연속된 비교를 처리하는 것은 아닙니다: - **C, C++**, 및 **Java**와 같은 언어들에서는 연속된 비교를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언어들에서 `1 < x < 3` 같은 표현을 사용하려면 `(1 < x) && (x < 3)`과 같이 논리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 **JavaScript**도 Python처럼 직접적으로 연속된 비교를 지원하지 않으며, 비교를 분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 < x && x < 3` 같이 써야 합니다. - **Ruby**는 Python과 유사하게 연속된 비교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Ruby에서도 `1 < x < 3`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언어 설계의 철학과 목적, 그리고 문법의 복잡성에 기인합니다. 언어마다 이런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연속된 비교 연산자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는 그 언어의 설계 철학과 문법 규칙에 따라 다릅니다. Python에서 연속된 비교 연산자 사용이 가능한 것은 그 언어의 철학 중 하나인 "가독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ython의 설계 철학은 코드가 가능한 한 읽기 쉽고 이해하...

python heapq

 import heapq heap=[] #힙으로 알아서 정렬해줌. heapq.heappush(heap, num) heapq.heappop(heap) #최소 힙이라서 가장 작은거 출력 최대 힙하고 싶으면 부호를 바꿔주면 됨 -heapq.heappop(heap)

python join() split()

# python join은 유독 잘 까먹어서 저장해둠  Python의 `join()`과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다룰 때 매우 유용한 함수들입니다. ### `join()` 함수 `join()` 함수는 여러 개의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결합할 때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 순회 가능한(iterable) 객체 내의 모든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결합합니다. `join()` 함수는 결합할 문자열들 사이에 들어갈 구분자(delimiter)를 지정하는 문자열에 대해 호출됩니다. **기본 구조:** ```python '구분자'.join(문자열_리스트) ``` **예시:** ```python # 공백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문자열 결합 words = ['Hello', 'World'] result = ' '.join(words) print(result)  # 출력: Hello World # 쉼표와 공백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문자열 결합 words = ['Python', 'is', 'awesome'] result = ', '.join(words) print(result)  # 출력: Python, is, awesome # 리스트 내 숫자를 문자열로 결합 (먼저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해야 함) numbers = [1, 2, 3, 4, 5] result = '-'.join(map(str, numbers)) print(result)  # 출력: 1-2-3-4-5 ``` ### `split()` 함수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지정한 구분자로 나누고, 나누어진 문자열들을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문자열을 특정 기준으로 나눌 때 사용됩니다. **기본 구조:** ```python 문자열.split('구분자') ``` **예시:** ```python # 공백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문자열 나누기 text = ...

요즘엔 챗지피티가 나에게 반말을 섞어서 하네

 원래 존댓말을 기본으로 했었는데 뭔가 업데이트 되면서 갑자기 반말 존댓말을 섞어서 한다. 예전에는 반말 하라고 해도 존댓말 했던거 같은데..확실한 기억은 아니고. 혹시 사용자의 질문 문장 같은걸 학습시켜서 반말 문장을 학습해서 그렇게 된건 아닐까 미스터리다 업데이트 될 때마다 뭔가 좀 달라지는데 저번에는 답변 길이가 짧아졌었다. 출력 토큰 수를 줄여서 답변 비용을 줄이려고 했던거 아닐까 싶은데 아무튼 업데이트해서 사용자가 일정하지 않는 성능의 답변을 얻는다니 좀 별로이다.

지피티 파인튜닝에 gui 인터페이스도 생겼네

이미지
  지피티 파인튜닝에 gui 인터페이스도 생겼네 이런거 없었는데 말이야.. <img alt="" data-original-height="1548" data-original-width="1080" height="640" src="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JSuJYJS8-YUUwu_5iH9AxDpgPcF-0nvZrWZopau8n2PrUtK1yUYrXt1W7y2V4CbnUt52YxGdga7UgJIy2wFRrWuqbRRboXGL1Li5YqJuVOcjuWHG9Hy_wH_pRPeFqKNuIR3RmxYKbysqRZ7fvpp4r9x6KHOI2JP45x5fF0k8rNuDCeOqEne0qbps32HTs=w445-h640" width="445" /> https://platform.openai.com/finetune

오픽 문장

  ## 감정에 따른 직접인용 ### 기쁨 - "I was like, 'This is the best day of my life!' when I found out I got the job." - "When she surprised me with the gift, I was like, 'Oh my God, you didn't have to!' but inside, I was absolutely thrilled." ### 놀람 - "I opened the door, and I was like, 'Wow, I did not see that coming!' when I saw the surprise party." - "He told me he was moving to Japan, and I was like, 'Seriously? That's amazing but totally unexpected!'" ### 슬픔 - "When I heard the news, I was like, 'I can't believe this is happening. It's just so sad.'" - "After watching the movie, I was like, 'That was heartbreakingly beautiful. I can't stop crying.'" ### 화남 - "She cancelled on me last minute, and I was like, 'Are you kidding me? This is so frustrating.'" - "When they told me the package was lost, I was like, 'This is unacceptable. I've ...

arduino 플랫폼 기반인 arduboy 게임기

Arduboy 프로젝트는 Arduino 플랫폼을 기반으로 합니다. Arduino는 오픈 소스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 소프트웨어(IDE)와 하드웨어(아두이노 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rduboy는 Arduino 호환 가능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Arduino IDE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Arduino 언어와 IDE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게임을 개발하고, Arduboy에 업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성과 유연성 덕분에 Arduboy는 코딩, 게임 개발, 전자공학을 배우는 학생들과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Arduboy는 자체적인 전용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하드웨어는 Arduino와 호환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하지만, Arduboy는 특정한 형태와 크기, 버튼 배열, 디스플레이 등을 갖춘 완성된 제품입니다. 즉, 일반적인 Arduino 보드(예: Arduino Uno, Nano 등)로는 Arduboy의 독특한 디자인과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없습니다. Arduboy를 사용하려면, Arduboy 기기 자체를 구매해야 합니다. 이 기기는 게임 개발, 학습, 또는 취미 목적으로 Arduino IDE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용자가 직접 게임을 만들고 기기에 업로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Arduino 프로젝트와 관련된 지식을 활용하여 Arduboy용 게임을 개발할 수는 있지만, 실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Arduboy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아두이노로 간단한 게임기를 만들고 계신다니 정말 멋진 프로젝트네요! 아두이노는 그 자체로도 매우 다양한 전자 프로젝트와 게임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훌륭한 플랫폼입니다. Arduboy와 비슷한 프로젝트가 있다고 해도, 각 프로젝트는 개발자의 창의성, 디자인, 구현된 기능들에 따라 독특한 가치를 가집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해 게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학습 기회가 있습니다: 프로그래밍과 소프트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