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Microservices Architecture vs Monolithic Architecture

 MSA는 "Microservices Architecture"의 약어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입니다. MSA는 전통적인 단일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와 대조되며, 여러 개의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할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접근 방식을 나타냅니다. MSA의 주요 특징 및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비스 분해: 애플리케이션은 작은 서비스로 나누어집니다. 각 서비스는 특정 기능 또는 업무를 담당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배포, 관리 및 확장될 수 있습니다. 2. 독립성: 각 서비스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와 개발 스택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이로써 한 서비스의 장애가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민첩성과 확장성: 서비스는 개별적으로 확장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스케일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기술 스택 및 언어를 사용하여 각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어, 팀이 독립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4. 분산 시스템: MSA는 분산 시스템으로 간주되며, 서비스 간 통신은 주로 HTTP, RESTful API, gRPC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5. 유연한 배포 및 업데이트: 서비스 간 독립성은 개별 서비스의 배포 및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만듭니다.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6. 복잡성 관리: MSA는 애플리케이션을 더 작은 서비스로 분할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각 서비스는 관리하기 쉽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MSA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인기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이며, 민첩하고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MSA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려면 적절한 도구와 관행을 사용하여 관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통적인 단일 모놀리식(Monolithic Architecture)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프로그램 실행 systemctl vs 백그라운드

 ELK 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을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systemctl`을 이용한 설치는 ELK Stack 각 컴포넌트를 시스템 서비스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어 많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systemctl`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서비스 관리**: 각 ELK 컴포넌트를 시스템 서비스로 등록하여 쉽게 시작, 중지,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자동 시작 설정**: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ELK 컴포넌트를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상태 모니터링**: `systemctl status`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로그 관리**: 시스템 로그를 통해 서비스의 문제를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5. **보안**: 서비스를 더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보안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ELK Stack을 설치하기 전에는 시스템 요구 사항, 네트워크 설정, 보안 설정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ELK Stack을 Docker 컨테이너나 Kubernetes 클러스터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환경에서 실행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배포 및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설치 방법은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배포판, 시스템 환경,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자세한 설정 방법은 공식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방법 중 하나는 명령어 끝에 `&`를 붙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터미널 세션과 독립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 방식에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1. **세션 종료 시 프로세스 종료**: 터미널 세션을 종료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도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nohu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hup 명령어 &` ...

[리눅스 명령어] systemctl

 `systemctl`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systemd` 시스템 및 서비스 매니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ystemd`는 현대 리눅스 배포판에서 널리 사용되는 초기화 시스템(init system)과 서비스 매니저로, 시스템 부팅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 `systemctl`을 사용하여 시스템 서비스를 시작, 중지, 재시작, 활성화(부팅 시 자동 시작), 비활성화(부팅 시 자동 시작 안 함)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의 현재 상태, 서비스 상태, 시스템 로그 등을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를 시작하려면 `systemctl start 서비스명`, 상태를 확인하려면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과 같이 사용합니다. 이러한 기능들 덕분에 `systemctl`은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ELK Stack으로 예를 들자면,  ELK 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을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systemctl`을 이용한 설치는 ELK Stack 각 컴포넌트를 시스템 서비스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어 많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systemctl`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서비스 관리**: 각 ELK 컴포넌트를 시스템 서비스로 등록하여 쉽게 시작, 중지,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자동 시작 설정**: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ELK 컴포넌트를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상태 모니터링**: `systemctl status`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로그 관리**: 시스템 로그를 통해 서비스의 문제를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5. **보안**: 서비스를 더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보안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ELK Stack을 설치하기 전에는 시스템 요구 사항, 네트워크 설정, 보안 설정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elastic search search api 중 query dsl

Elasticsearch의 Query DSL (Domain Specific Language)은 Elasticsearch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강력하고 유연한 쿼리 언어입니다. Query DSL을 사용하면 다양한 검색 요구 사항에 맞춰 복잡한 검색 쿼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Query DSL의 주요 특징과 구성 요소에 대한 개요를 드리겠습니다. ### 주요 특징 1. **유연성**: Query DSL은 다양한 검색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쿼리 타입을 조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2. **강력한 검색 기능**: 텍스트 검색, 범위 검색, 정확도 조절, 불리언 조합 등을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검색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JSON 기반 구조**: 쿼리는 JSON 형식으로 작성되며, 이는 Elasticsearch와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된 형식입니다. ### 핵심 구성 요소 1. **기본 쿼리 타입**:    - **Match Query**: 텍스트/키워드 필드에서 텍스트를 검색합니다. 텍스트 분석이 적용되어 유연한 검색을 지원합니다.    - **Term Query**: 정확한 용어를 검색합니다. 텍스트 분석을 거치지 않습니다.    - **Range Query**: 숫자, 날짜, 문자열 범위 내의 값에 대해 검색합니다. 2. **복합 쿼리**:    - **Bool Query**: 여러 쿼리를 `must`, `should`, `must_not`, `filter` 조건으로 조합합니다.      - `must`: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should`: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좋습니다 (옵션).      - `must_not`: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야 합니다.      - `filter`: 조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점수(...